차이나타운 '전서경 가옥'… 그곳에 깃든 화교 3대 백년 가족사

인천 중구 인천차이나타운 조계지계단 옆에는 오래된 중국식 주택이 있다. 인천차이나타운에 진입하는 느낌을 들게 하는 이국적 건축양식으로 관광객들의 사진 촬영 장소로도 널리 알려졌다. 그러나 이 집의 내력을 아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 수년 전 집주인 할머니가 세상을 뜬 이후 비어있는 상태다.
인천시의 중국어판 소식지 '인천지창'의 이용남 편집위원이 베일에 싸인 집주인의 딸을 어렵사리 만나고 최근 집에 얽힌 이야기를 풀어내 눈길을 끈다.
건축 연도 1894~1904년으로 추정
'상해 할머니집' 주인 2019년 작고
인천차이나타운 화교들은 이 집을 '상해 할머니 집' 또는 '국 할머니 집'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집주인 상해 할머니의 이름은 전서경이며 2019년 작고했다. 이른바 '전서경 가옥'의 건축연도는 1894~1904년 사이로 추정된다. 건축전문가들은 이 집을 서양 건축이 가미된 양루(洋樓)라고 했다.
전 할머니의 아버지 전신인은 중국 상하이에서 인천으로 온 양복기술자였다고 한다. 이 집 1층에서 '순태양복점'을 운영했고 2층은 살림집이었다. 순태양복점은 직원을 여러 명 둔 꽤 큰 양복점이었다는 게 전 할머니의 딸 얘기다.
전서경 가옥은 한국전쟁 때 폭격으로 지붕의 반이 날아가는 피해를 봤다. 폭격으로 인해 전 할머니의 언니가 집안에서 사망했고, 놀란 가족은 부산으로 피난을 떠나야 했다. 전 할머니의 아버지 전신인도 부산에서 세상을 떴다.
아버지는 인천으로 온 양복기술자
한국전쟁시 언니·부친 사망 아픔

전서경 가옥은 청나라풍의 이색적 분위기 덕분에 1950~1970년대 영화 촬영 장소였다. 주로 인천 관련 내용이나 역사물의 배경이었다.
전 할머니는 인천기독중화교회 신자로 활동했다고 한다. 인천 화교 대다수가 산둥 출신이지만 할머니 가족은 중국 남쪽 상하이에서 왔기 때문에 말과 문화가 달라 화교사회와 섞이기 어려웠다고 한다. 전 할머니의 남편 국진원은 일제강점기 인천 최대 화교 무역상 '만취동'의 최대 주주이자 경영자였다.
전 할머니가 작고한 이후 대만에 사는 딸이 1년에 한 번 외국인 거류 신고차 인천에 들러 이 집을 찾는다고 한다. 인천지창 이용남 편집위원은 해마다 전 할머니의 딸을 만나길 시도했고, 올여름 만나 집의 내력을 들을 수 있었다. 하지만 집 내부는 볼 수 없었다.
이국적 풍경, 한때 영화촬영 명소
현재 딸이 대만서 해마다 찾아와
'인천지창' 이용남씨가 사연 발굴
이용남 편집위원은 2015년 3월 '인천지창' 창간부터 현재까지 인천차이나타운과 화교들을 취재하면서 전 할머니의 딸과 인연이 닿았다.
이 편집위원은 "전서경 가옥은 인천차이나타운에서 익숙한 건축물이지만, 화교들도 그 내력을 자세히 알지 못했다"며 "매년 전 할머니의 딸이 인천에 오기를 기다려 올해 드디어 만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전서경 가옥 이야기가 실린 '인천지창' 2021년 겨울호는 공항과 관광안내소, 인천 지역 특급호텔, 중국의 인천시 자매·우호도시 등에 배포되며, 인천시 인터넷신문 'I-View' 홈페이지에서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