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과 답사/인천

패션브랜드 상점들이 밀집되어 있는 인천 중구 신포문화의 거리와 부유층들이 살았던 중구청 뒷편 풍경입니다.

경동사거리에서 인천역방향으로 향하는 개항로에는 문화와는 별 상관이 없는 오로지 패션 및 젊은이들을 겨냥한 패션가게들이 밀집되어 있습니다.

경인면옥에서 식사를 하고 나와서 신포국제시장 및 신포문화의 거리를 걸었습니다. 동인천역에서 시작한 왕복 6차로의 우현로는 답동사거리, 사동삼거리로 이어져 있는데 이 일대로 인천 원도심 시내 번화가가 펼쳐져 있습니다.

예전같지는 않지만 그래도 나름 역사가 있는 장소들과 건축물, 오래된 맛집, 그리고 레트로 분위기를 타고 많은 사람들이 인천 중구 원도심 동인천~신포동거리를 찾고 있는것입니다.

2차선의 좁은 도로는 주차장 때문에 1차로로 좁아져 있는데 어차피 차량이 진입하기 힘든 도로 주차장으로 만들어서 주차나 하기 쉽게 만들자는 의도가 있는것 같습니다.


높은 층수의 건물이 아닌 1차로의 좁은 길을 따라서 2~3층의 건물에 의류가게, 식당, 카페들이 있습니다. 대체로 활력이 떨어진 인천 원도심 번화가에서도 이 거리가 그나마 활력이 있는것은 건물을 전부쓰는 의류 브랜드 가게들이 있기 때문인것 같습니다.

그래서 젊은이들과 어느정도 젊은 부부들이 찾는것 같은데 송도국제도시나 청라국제도시에 스타필드, 신세계백화점, 롯데몰, 이랜드몰들이 들어선다면 이 거리에 타격은 불가피할것으로 보입니다.


개항로~신포문화거리 끝 오거리에는 쉼터 및 광장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백범김구동상이 세워져 있습니다.


근처 초연다도구박물관에 볼일이 있어서 갔는데 문이 닫혀 있습니다. 너무나 많이 방문을 했지만 그래도 개항누리길로 향했습니다.


개항누리길 근처 주택가에는 나지막한 주택 건물들이 들어서 있습니다.

중구청 근처 조용한 거리이자 역사적인 장소라 그런지 일본식 목조주택으로 개조된것도 있고 나름 운치있게 지어진 주택들도 있습니다.

그리고 개항누리길보다는 숲 근처 언덕에 있고 잘사는 사람들도 많은것 같습니다. 아마도 이곳은 해방 이후에는 잘사는 사람들이 사는 동네인것 같습니다.


중구청 후문으로 고급빌라와 대저택들이 제물포구락부 인천 시민애집 근처로 몰려있는데 좁은 주택들이 많은 개항누리길, 아트플랫폼과는 전혀 다른 분위기입니다.


골동품과 미술품을 판매하는 담쟁이넝쿨집이 자리한것을 보아 과거 인천시청이 있었다는 이 일대에 부유층들이 모여 살지 않았나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