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Ja6ku/btrorBCD8wa/eHQZNkM8iUUDQQJbrSYkx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GrW6L/btrolUwuhxZ/WGwEtua6VRbKKm3tp1FQG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h0a9I/btronIWQU7Q/BzC9wKZIx484Gf4EapkaY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O2XU/btroqRyXXpq/q3FtkvKRCYpbmdUEoRiMx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EUVXV/btrolTEklFJ/v6NkfNTPkUMvW1AHpiGqR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E4oKl/btroi5SOsSR/UotDys8Ehk22g7SjtkXwT1/img.jpg)
인천 최초의 제과점으로 생각되는 복래춘을 지나간다음에는 맞은편 인천 중산중학교 앞으로 갔습니다. 일요일이라 그런지 따로 문을 열어놓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과거 중국 영사관회의청은 인천 화교역사문화관으로 개조가 되었는데 문은 열어놓고 있지 않았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H1S6/btrorBbANl0/biGBdHyvSbmxDdhtuKpvw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ic0Gh/btronJBpS4S/MaTWaayGxiEmpLuzWoI5N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k4a6m/btrokrH8gQ6/1hM5h5IstObOsoYkAOySHK/img.jpg)
인천 차이나타운과 개항누리길을 나누는 청일 조계지 계단입니다. 위로는 자유공원이 아래에는 한중문화관과 인천 아트플랫폼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곳을 기준으로 중국식 건물과 일본식 건물로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VLtew/btroi5d9JHq/oXErkeUm47kEzGtVnknAZ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IKyVc/btroprUO34q/iCmOFWFEE8fVhD16lkZoO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najl8/btrorBilaXT/CGD6J3gkQMdAfCcefidEH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dF2H2/btrohSsCCSt/vbMMv56njKMMUoGWu6vti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wxKpV/btroptkNMiU/qmSZhYjtoAiF8qO3duFfa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0r1Qu/btroqSkoeFc/JkYKpOaHt6gWXzzMrJiCy1/img.jpg)
인천 차이나타운에는 중국식의 오래된 건물들이 곳곳에 있습니다. 어떤 건물은 주택으로 혹은 상가로 사용이 되었던것 같은데 단순히 일본식 건물이나 서양식 건축물 외에도 중국식의 근대건축물이 있는것도 인천 차이나타운의 장점이 아닌가 싶습니다.
'여행과 답사 > 인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풍의 거리인 개항장 역사문화의 거리와 일본인이 만든 창고를 개조한 복합문화공간인 아트플랫폼 풍경입니다. (3) | 2021.12.20 |
---|---|
한중문화관과 화교역사관 풍경입니다. (0) | 2021.12.20 |
인천 최초의 제과점일수도 있는 "복래춘"입니다. (0) | 2021.12.20 |
인천 차이나타운에 위치한 제빵, 제과점인 "중국제과 담"입니다. (0) | 2021.12.20 |
경인선의 종점인 인천역과 인천 차이나타운 입구를 상징하는 패루입니다. (2) | 2021.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