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m.viva100.com/view.php?key=20220111010002679

인천시가 옹진군 해역에 쭈꾸미 산란시설물을 설치하는 등 수산자원 회복에 나선다,
인천시가 올해 30억 원을 투입해 옹진군 자월면 300㏊의 해역에 쭈꾸미 산란시설물 설치와 먹이자원 등을 조성한다.
11일 시에 따르면 전날 해양수산부 수산자원 조성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돼 자월면 해역에 쭈꾸미 어장조성 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기후 변화와 남획 등으로 황폐해져 가는 바다를 되살리고, 수산자원 회복을 통해 어업 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어촌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한편 주꾸미 생태계 기반 조성과 자원의 공급 거점을 구축하고자 추진하게 됐다.
해양수산부 공모사업 선정으로 국비 15억 원 등 30억 원을 투입해 올해부터 2026년까지 5년 동안 자월면 소이작도, 대이작도, 승봉도 해역 300㏊ 규모의 주꾸미 산란·서식장을 조성하게 된다.
이 곳 해역은 수심과 지형, 해양 퇴적물, 수질환경 등이 주꾸미 산란·서식장 조성에 적합한 여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는 이 곳 해역에 피뿔고둥 패각 약 10만개를 이용해 주꾸미 산란시설물을 설치하고, 주꾸미 방류와 함께 먹이자원 조성을 위해 패류 방류 등을 실시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어업인들에게 돌아갈 기대수익이 투자액(30억 원) 대비 4.1배에 달하는 약 122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리나라 전 연안에 분포하는 주꾸미는 팔완목 문어과의 연체동물로 수심 5~50m 정도의 모래~자갈 바닥에서 주로 서식한다. 낙지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다리를 포함한 몸통길이가 12㎝ 전후로 낙지보다 작다.
지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 간 인천시의 주꾸미 평균 생산량은 741톤으로 전국 평균 생산량 3529톤의 21%를 차지하고 있으며 5년 평균 생산액은 129억 원에 달한다.
또한, 옹진군 해역의 연간 생산량은 2016년 13톤에 불과했으나, 2018년 64톤, 2019년 145.9톤을 기록한데 이어 2020년에는 316.6톤으로 크게 증가했다.
오국현 시 수산과장은 “올해에도 인공어초시설, 수산종자 매입방류 등 수산자원 조성사업에 약 45억 원을 투입해 풍요로운 어장을 만들기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경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별미 일본식중국냉면 히야시츄카(冷やし中華) (0) | 2022.05.30 |
---|---|
강화 쌀 ‘나들미’ 보호출원 한국 밥맛 책임진다’ (0) | 2022.05.30 |
인천 옹진군, 백력면 해당화로 관광과 식품사업 두 마리 토끼 잡는다. (0) | 2022.05.26 |
3장미의 계절… 로즈향 가득한 인천 장미정원 8곳 (0) | 2022.05.26 |
[주간한국] [이야기가 있는 맛집(348)] 만두(2) (0) | 2022.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