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과 답사/인천 (722) 썸네일형 리스트형 신도3,4리 마을에서 신도~시도 연도교까지 전동바이크로 신도로를 따라서 달렸습니다. 신도3리 고개를 넘어서 신도로를 따라서 신도~시도연도교를 따라서 달리는 신도로 구간은 대체로 구봉산 자락과 맞닿아있습니다. 그리고 신도로 한쪽은 숲이 펼쳐져 있고 다른 한쪽은 신도~시도 사이 해협이 있습니다. 신도와 시도해협은 저멀리 강화도와 맞닿아 있는데 마니산과 길성산을 볼수 있습니다. 마니산과 길성산은 400~300m 높이인데 워낙 인천 산들이 낮은편이라 인천 산중에서는 높은편에 속합니다. 신도와 시도 해협은 썰물과 밀물사이에 물흐름이 빠른편이며 썰물시기에는 갯골이라는 물길이 펼쳐져 있어서인지 헤안가와 갯골거리가 가까우며 진흙+모래갯벌, 갯벌 경사도 비교적 완만해서인지 신시도 주민들과 낚시꾼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쪽 지역은 농경지로 갯벌들이 간척이 되지 않아서인지 갈대와 칠면초, 해당화, 함.. 인천 옹진군 북도면 신도, 신도4리, 신도3리 푸른볏알마을 벌판 풍경입니다. 신도에는 여러 마을들이 존재를 하지만 그중에서도 신도3, 4리마을은 농사와 새우양식에 종사하는 마을입니다. 그래서인지 슈퍼나 편의점 가게, 식당, 편의점이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인지 신도선착장이 있는 2리마을이나 신도~시도연도교가 있는 신도1리마을보다는 집들이 더욱 분산되어 있고 신도3,4리 마을회관이 붙어 있는것을 보아서 인구도 제일 많은것 같습니다. 들판에 펼쳐져 있는 논과 포도밭은 서울이나 인천에 사는 도시사람들에게 정서적인 안정감을 주기에 충분한것 같습니다. 이쪽 마을은 푸른볏알마을로 불리우는데 농사가 발달해 있어서 농촌체험을 할수 있으며 농수로나 푸른볏알마을저수지 신도저수지도 있습니다. 배롱나무가 피어있는 푸른볏알 마을 저수지는 쉼터가 있어서 이쪽 마을 풍경을 감상할수 있습니다. 전동바이크를 타고 신도선착장에서 신도4리 신도3리 푸른볏알마을까지 신도로를 따라서 달렸습니다. 신도 선착장에서 신도4리 신도3리 푸른볏알마을을 신도로를 따라서 달렸습니다. 이쪽 신도3, 4리 방향 마을은 구봉산과 왕봉산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는데 신도 마을 중에서도 들판이 넓어서인지 신도, 시도, 모도는 물론이고 옆에 장봉도 무의도, 소무의도와 비교를 해서도 어업보다는 농사와 세우양식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집들도 항구에 집중되어 있다기 보다는 신도로를 따라서 고루게 분산되어 있는데 아마도 펜션운영과 새우양식, 논밭 농사에 용이하기 때문에 그런것 같습니다. 농사는 논농사나 포도농사 이외에도 다양한 작물들을 재배하는것 같으며 이것들을 신도선착장 바다역에서 판매를 하거나 혹은 직접 도로가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바닷가 건너로는 영종도와 영종도에 위치한 공항신도시가 있는데 인천국제공항으로 인해서 배후 도.. 오늘은 신도와 시도 수기해수욕장을 갔다왔습니다. 오늘도 광복절 연휴처럼 공항철도 운서역에서 내려서 버스를 타고 삼목선착장에서 신도를 갔습니다. 날씨가 흐려서인지 선선하면서도 풀내음과 숲향기 새울음소리가 나는 신도 및 시도 해안가와 숲 그리고 마을 논과 밭 풍경은 평화로움 그 자체입니다. 신도 선착장 근처 대여카페에서 전동바이크를 타고 신도와 시도에서 수기 해수욕장으로 달렸습니다. 인천 중구 개항장 누리길(문화거리)에 위치한 갤러리 겸 카페인 도든아트하우스 <갤러리로 쇼핑가자~~!>전시회입니다. 개항장누리길에 위치한 갤러리 겸 카페인 도든아트하우스 앞 화단 풍경입니다. 8월3일에 방문한 날짜에 찍은 풍경입니다. 이시기는 주중에 소나기가 내리고 주말에 비가 내려서 그나마 열돔더위가 한풀 꺾였을 시기에 방문한 사진입니다. 해바라기, 무궁화, 나팔꽃, 붓꽃, 배롱나무꽃등과 함께 여름을 대표하는 꽃인 수국꽃이 피어나고 있습니다. 이미 전시회는 끝이 났지만 8월3일날 시기에는 갤러리에서 그림 판매로 특별전시회를 열고 있었습니다. 인천에 있는 작가들의 미술세계가 궁금하다면 한번 도든아트하우스 방문을 추천합니다. 인천 중구 생활사 전시관 2층 전시실 모습입니다. 마지막 2층은 인천 중구에 자리잡았던 극장과 서민주점 그리고 사진으로 찍지 않은 옛 화장실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상영관에서는 옛날 영화가 방영을 하고 있고 서민주점에는 과거 주점에서 쓰던 물건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인천 중구 생활사 전시관 1층 풍경입니다. 지하1층에서 지상1층으로 올라가면 인천의 의식주 양식을 담당하고 주도하던 인천 중구의 모습을 재현해놓은 중산층 주택 및 동인천과 신포동으로 추장되는 옛 번화가에 자리한 가게들의 모습을 통해서 일수 있습니다. 인천 중구지역의 의류가게와 이발소 그리고 예식장 모습입니다. 인천 중구 주택 중에서 중산층으로 추정되는 주택 모습입니다. 인천 중구 번화가에 자리잡았던 식당, 구멍가게, 분식집, 오락실, 가전가게, 나이트클럽 등의 모습입니다. 거의 옛 거리로 재현을 해놓았습니다. 인천 중구 생활사 전시관 지하1층 풍경입니다. 지하1층은 개항이후부터 1980, 90년대까지 인천의 중심지였던 인천 중구의 역사와 의식주 생활사를 연대표를 통해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인천 중심지가 부평, 구월동, 송도국제도시, 청라국제도시, 인천 영종하늘도시~인천국제공항등이 하고 있지만 과거에는 인천의 의식주 및 문화생활은 인천 중구가 주도를 했으며 옛 영화는 단지 생활사 전시관을 통해서만 알수 있습니다. 이전 1 ··· 49 50 51 52 53 54 55 ··· 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