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자료

포스트 홍콩과 금융허브을 노리는 일본 도쿄와 대만입니다.

http://naver.me/GT7PmKsv

'아시아 금융허브' 노리는 도쿄, 법인세·임대료 깎아준다

【 도쿄·베이징=조은효 특파원 정지우 특파원】 아시아의 금융허브를 홍콩에서 도쿄로 옮기기 위한 일본 정부의 파격 혜택의 큰 윤곽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세금을 대폭 깎아주고 영주권 취득

n.news.naver.com


29일 일본 내각부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최근 각의를 통과한 '경제재정운영과 개혁의 기본방침 2020'에 세계금융허브로서 국제금융도시라는 목표를 제시하고, 이를 위해 해외 금융기관 등의 유치를 위해 관련 규정 개정에 들어갔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이미 지난달 "홍콩을 포함한 전문적, 기술적 분야의 외국인 인재를 적극 받아들이겠다"고 공언한 상황이다.

총리의 이런 방침에 집권 여당인 자민당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자민당은 이달 초 외국인 노동자 등 특별위원회 프로젝트팀을 발족한데 이어 전날 당 본부에서 해외 고급 인력 유치를 위한 세금 우대 방안을 논의했다. 자민당은 연내 홍콩 인재들에 대한 세금우대, 외국 금융기관의 법인세 감면, 임대료 경감 등 구체적 방안을 담아 연내 일본 정부에 제시할 방침이다. 외국 금융 인재의 경우, 5년 체류 자격 조건만 충족하면 영주권을 곧바로 취득할 수 있게 한다는 구상이다

홍콩의 위상 약화는 국제금융도시의 아성을 노리는 도쿄엔 기회다. 국제금융 중심지 순위에서 이미 홍콩(지난해 9월 조사 3위→올 3월 6위)과 도쿄(6위→3위)의 순위가 최근 뒤바뀌었다

---------------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384603

대만, 아시아 금융허브 도약 위해 파격 규제완화 검토

대만 금융당국이 글로벌 금융회사들의 홍콩 탈출을 계기로 아시아 금융허브로 도약하기 위해 규제 완화에 착수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1일 보도했다. 황톈무 대만 금융감독위원회 위원장은 "글

n.news.naver.com


대만 금융당국이 글로벌 금융회사들의 홍콩 탈출을 계기로 아시아 금융허브로 도약하기 위해 규제 완화에 착수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1일 보도했다.

황톈무 대만 금융감독위원회 위원장은 "글로벌 증권사들이 속속 기존 대만 지점을 확대하거나 새로 사무소를 내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정 회사 이름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아시아 금융허브로 꼽히는 홍콩은 지난해부터 지속된 민주화 시위에 따른 정치적 불안으로 글로벌 기업들이 떠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달 초 중국 정부가 강행한 홍콩 국가보안법은 홍콩의 금융시장을 더욱 불안하게 하고 있다. 싱가포르와 상하이, 도쿄 등이 아시아 금융허브 자리를 이어받기 위해 경쟁을 벌이고 있다.

황 위원장은 "우리가 특별히 어느 지역(홍콩)을 대체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우리가 금융허브로 도약하겠다는 야망이 없는 것도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만은 홍콩 뿐 아니라 아시아의 다른 국가들로부터 자본과 인력을 유치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만 금융당국은 글로벌 은행들을 유치하기 위한 대규모 규제완화를 준비하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이 조세피난처에 등록한 자산을 대만으로 이전하기 쉬워지도록 해외 계좌의 대만 송금 제한부터 철폐한다는 계획이다.

대만 금융위는 또 미국 나스닥증시와 스타트업 교차상장을 허용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해외 보험사의 대만 증시 투자를 늘리기 위해 투자 자격을 완화하는 보험업법 개정 작업도 진행하고 있다.

http://naver.me/FTnpyc9f

금융허브 한다며 국책은행 지방이전 움직임···시대착오적 발상

[서울경제] 국책은행의 지방 이전 가능성이 다시 수면 위로 부상하면서 금융경쟁력 강화는커녕 정치 도구로만 활용하려는 당정에 비판의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홍콩 국가보안법 이슈로 아시

n.news.naver.com


서방과 중국을 연결할 ‘제2의 홍콩’ 지위를 두고 아시아권 도시들의 각축전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서울과 비슷한 위치에 있는 싱가포르·도쿄 등 금융도시들은 정책금융기관을 수도에 집결해 금융경쟁력을 끌어올리고 있다. 강제로 국책금융기관을 이전하거나 이전하려는 움직임도 없다.

금융경쟁력을 키워 헥시트로 빠져나가는 서방 자본을 끌어오겠다는 전략이다. 반면 서울은 지난 2015년 이후 1차 공공기관 이전으로 금융기관들이 지방으로 뿔뿔이 흩어지면서 금융경쟁력이 상당히 떨어진 상황이다. 서울의 지난해 국제금융센터지수(GFCI) 순위는 36위로 싱가포르(4위)와 도쿄(6위)보다도 한참 뒤떨어진다.

1차 공공기관 이전 당시 지방으로 내려간 주요 금융 공공기관들의 업무 비효율이 상당하다는 점도 지방 이전을 반대하는 이유로 꼽힌다.

금융경제연구소가 지난해 발간한 국책은행 지방 이전의 타당성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5년까지 공공기관 전체 출장 횟수는 28.3% 증가했고 출장비는 36.2%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방 이전에 따른 자발적 퇴직 증가로 인력 수급 문제가 커졌고 비수도권 이전으로 사업경쟁력이 약화된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