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동구 혼수거리와 중앙시장과 송림로를 건너편에 두고있는 배다리 책방거리에 도착을 했습니다. 오래된 거리 그자체의 친숙함이 있는 책방거리는 정겨움이 있지만 방문객들은 많지 않습니다.
인천 중구 월미도, 차이나타운, 개항누리길이나 신포국제시장, 자유공원 등에 비하면 동구의 노력에 비하면 이곳을 찾는 방문객들이 없습니다.

과거 동구주민들이 이사를 가면서 버린 오래된 물건들을 수집하여 판매를 하는것 같습니다. 나전칠기는 꽤 이곳에 경제력이 있는 주민이 버린것 같은데 인천에서 부유한 동네인 연수지구나 인천논현지구 청라국제도시나 송도국제도시로 이사를 가면서 버렸을까 싶습니다.


인천 개항누리길처럼 클래식한 전동차 투어상품을 만든곳이 있는데 차량통제를 안해서 이용에 어려울것 같습니다.



그동안 하지 않았던 숭인지하차도 공사를 하면서 예전에 있었던 동네공원과 마을텃밭 그리고 도시재생을 위해서 설치된 설치미술은 전부다 사라졌습니다.
쇠락한 이동네를 위해서 만들어진 공공공간은 완성도가 낮기에 공사를 위해서 결국에는 전부다 사라졌습니다.



근처 중국집에서 점심식사를 하고 인천 동구청에서 문닫은 여인숙을 인수하여 만들었다는 잇다스페이스에 갔습니다.

차량이 들어갈수 없는 골목길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인천 중구청에서는 차이나타운, 개항누리길, 싸릿재라는 지명을 미는곳 처럼 인천 동구청에서는 배다리라는 명칭을 주로 미는것 같습니다.


과거 한옥식 여인숙을 매입해서 만들어진 제법 보기좋은 카페 및 전시공간이 탄생을 했습니다.


그림에도 있듯이 이곳이 예전에는 여인숙 골목이었다고 합니다.



여인숙 시절에는 주변 건물에 의해서 햇빛이 안들어왔는지 안에는 ㄷ자 모양의 한옥가옥을 살려서 채광이 잘들게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이곳에 빨래터가 있었다는 사실을 살려서 중간에 연못 비슷한 공간도 만들어 놓았습니다.


바닐라라떼와 쇼콜라빵을 주문해서 먹었습니다.



카페 안에 배치된 여인숙에서 카페 및 전시공간으로 개조를 했는지에 대한 책을 읽으니 여인숙을 닫은 이후로는 거주했던 사람이 수리도 안하고 부실하게 거주를 한것 같았습니다.


카페 운영은 민간위탁인것 같고 이런저런 구성을 잘하고 테이블이나 책장 등은 근처 배다리 목재공방에서 주문을 한것 같은데
개항누리길, 항미단길, 동인천, 싸릿재~개항로, 배다리책방거리 등에도 옛 공간의 역사적 의미와 공간의 장소성 사회적인 성격을 잘 살린 개성이 넘치고 복합 문화공간인 카페들이 워낙 많이 생겨서 의미가 깊은 카페간에 경쟁이 매우 치열할것 같습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카페들이 없을때는 귀한대접을 받았겠지만 현재는 옛공간을 살린 개성이 있는 복합문화공간 카페들도 너무 많이 생겨서 앞으로 어떻게 될지 예측이 안됩니다.



잇다스페이스 가운데는 카페 야외 이용시설 및 정원 야외전시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2층짜리 전시공간에서는 한참 전시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2층 전망대에서 이 근처를 볼수 있습니다. 오래된 건물과 저렴한 월세운 내세운 오피스텔들이 많이 들어서 있습니다.


인천에 오래된 고기구이 식당인 토치살숯불구이집도 이곳에 있습니다. 과거의 고기구이문화를 알수 있었습니다.
'여행과 답사 > 인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 송도국제도시 송도컨벤시아에서 막국수를 한그릇 먹었습니다. (2) | 2022.12.12 |
---|---|
인천 동구 배다리책방거리에서부터 배다리전통공예거리 그리고 중앙시장~혼수거리를 걸었습니다. (2) | 2022.11.27 |
동인천역 북광장부터 인천 동구 송현자유시장~중앙시장~혼수거리 일대를 다녀왔습니다. (2) | 2022.11.27 |
곰표로 유명한 대한제분 인천공장입니다. (0) | 2022.11.21 |
포근하고 화창한 늦가을 오후 인천 중구 월미도 유원지에 다녀왔습니다. (4) | 2022.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