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91) 썸네일형 리스트형 오늘 찍은 인천 송도국제도시 센트럴파크일대풍경입니다. 정리해야 할 사진이 많아서 우선 몇장 올리겠습니다 소래포구 어촌계시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인천앞바다 해산물입니다. 젓갈용 새우와 민꽃게(박하지)는 이제 금어기에 들어가서 인지 젓갈로 담근 새우젓 아니면 멸치젓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여름철에 들어와서 가장 많이 판매를 하는것은 바로 소라입니다. 여기저기에서 소라를 판매한다고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갑오징어도 살아있는 상태로 많이 펀매하고 있습니다. 지난주의 삼치와 뽈락, 황석어, 박대는 보이지 않는데 시장이 열리는 날이나 시기마다 잡히는 해산물이 다름니다. 그나마 간재미, 서대, 붕장어, 아구는 계절과 상관없이 4계절내내 잡히는것 같습니다. 소래포구 갯골 일대 풍경입니다 인천대공원에서 발원한 인천 장수천이 인천 남동구 시가지 외곽을 지납니다. 그리고 소래포구습지공원에서 신천, 장현천을 만나서 서해로 흘러가는데 바다로 흘러가기 직전에 소래포구가 나옵니다. 소래포구는 소래만을 통해서 서해와 연결이 되는데 썰물이 되면 소래만에 갯벌이 들어나며 갯벌 한가운데에는 장수천물이 흘러가는 골짜기가 갯벌 한가운데에 들어나는데 그게 바로 갯골입니다. 이 갯골을 통해서 어선들은 인천 앞바다에서 잡아온 해산물을 소래포구에서 판매를 하는겁니다. 인천 소래포구 종합어시장에서 팔고 있는 동해산 새우입니다. 소래포구종합어시장에서는 동해에서 잡히는 독도새우를 비롯한 다양한 동해안새우도 팔고 있습니다. 중구 개항장거리에 생겨나고 있는 문화공간입니다 인천 중구 개항장거리를 중심으로 점차 문화공간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수인선 전철에서 바라본 소래포구 갯골입니다. 현재의 소래포구를 있게해준 소래포구 갯골입니다. 주변이 너무 개발이 되어서인지 아파트숲이 둘러싸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봉디새우나 싸첩조개가 인천 영종도 앞바다와 소래갯벌에 있었다고 하는게 전부 멸종을 당한것 같습니다. 소래포구 일대로 워낙 매립을 많이해서 여전히 전어나 숭어도 많이 살고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수인선 소래포구역 일대입니다. 소래포구라는 어촌이미지와는 안어울리게 인천 논현동 동네를 너무 수도권 신도시처럼 개발을 했습니다. 공덕역 일대 풍경입니다. 이전 1 ··· 130 131 132 133 134 135 136 ··· 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