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91)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천 중구 잠진도와 무의대교를 지나서 무의도로 들어갔습니다. 무의대교에서 바라본 용유도 해변입니다.무의도 마을풍경입니다.차량은 잠진도길과 무의대교를 지나서 큰무리마을과 무의도지원행정지원센터가 있는 마을을 지나서 하나개 해수욕장으로 갔습니다. 하나개 해수욕장 가는 도로 중간에는 국사봉과 호룡곡산 사이 고개길이 있는데 이고개를 지나면서 느끼는것은 영종도와 용유도 일대에 있는 섬 중에서 무의도에 있는 산이 가장 산세가 험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인천 중구 무의도에서 모임이 있어서 서울에서 공항철도 전철을 타고 운서역에서 내렸습니다. 지난주 토요일 인천 중구 무의도 하나개 해수욕장에 모임이 있어서 공항철도 전철을 타고 운서역에서 내렸습니다. 운서역은 인천 중구 영종도 공항신도시의 중심지로 번화가 및 대형마트 관광호텔들이 모여 있습니다. 이곳에서 탑승하기로 한 차량을 타고 인천국제공항 고속도로와 국제공항 남쪽 방조제 도로를 타고 가다가 무의도로 들어갔습니다. 지금까지 횟집서 먹는 '매운탕'은 매운탕이 아니다? [먹을꼰대] https://naver.me/xPpX6mzX겉모습은 꼰대지만 누구보다 맛에 진심인 이우석 먹고놀기연구소 소장이 풀어내는 쉬운 미식, 이번에는 호불호가 갈리기 십상인 매운탕 편으로 찾아왔습니다. 이우석 먹고놀기연구소 소장은 "횟집에서 회 뜨고 남은 생선으로 끓여준 건 서덜탕이지 매운탕 아니다"라며 "유사 매운탕일뿐"이라고 호통부터 칩니다. ■민물고기와 육식어종…풍미가 다르다 매운탕은 비리거나 흙냄새가 나는 생선류들을 맛있게 먹기 위해 얼큰하게 끓인 데서 유래된 음식입니다. 왜 흙냄새가 나냐고요? 하천 밑바닥에서 사는 가물치 같은 민물고기들은 흙을 파서 먹이를 찾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런 민물고기가 훨씬 기름지고 구수하다는 소장님의 평가. 민물고기 매운탕 매니아층이 있는 이유입니다. 민물고기도 종류별로 .. 10여년째 빈 인천대 제물포캠퍼스… 상권 침체 보고도 '뒷짐만' http://m.kyeongin.com/view.php?key=20230414010002802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가 10여 년째 방치되면서 일대 상권 침체가 가속화하고 있다. 인천 정치권 등을 중심으로 제물포캠퍼스 활용 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6일 경인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인천시와 인천대는 제물포캠퍼스 부지 개발을 위한 별다른 계획이 없는 상황이다. 말 그대로 방치된 실정이다. 인천 미추홀구 도화동에 있는 인천대 제물포캠퍼스는 약 22만1천㎡ 규모로, 2009년 캠퍼스가 송도국제도시로 이전하면서 건물 대부분이 10여 년째 빈 채로 남아있다. 현재 제물포캠퍼스 건물 18개 중 5개만 사용 중인데, 그마저도 일부 건물은 주 1회 정도만 쓰이고 있다. ■2009년 송도 이전 18.. 국토교통부, 인천공항 KTX 재운행 "어렵다" http://m.kyeongin.com/view.php?key=20230414010002822 국토교통부, 인천공항 KTX 재운행 "어렵다"인천국제공항 KTX 재운행 요청에 국토교통부가 `어렵다`는 입장을 나타낸 것으로 파악됐다.16일 인천시에 따르면 국토부는 최근 인천공항에서 출발하는 KTX를 다시 운행할 필요가 있..m.kyeongin.com인천국제공항 KTX 재운행 요청에 국토교통부가 '어렵다'는 입장을 나타낸 것으로 파악됐다. 16일 인천시에 따르면 국토부는 최근 인천공항에서 출발하는 KTX를 다시 운행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의 인천시 요청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나타냈다. 인천시가 철도의 공공성과 지역균형발전 등을 위해 지난 2018년부터 중단된 인천공항 KTX의 재운행을 건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 동인천삼치거리부터 동인천역까지 걸었습니다. 홍예문로를 나와서 동인천 삼치거리를 걷습니다.동인천 삼치거리 옆에는 학생교육문화회관이 있습니다.삼치구이로 유명한 동인천 삼치거리는 조용합니다.학생회관 건물이 있는데 별다른 행사는 하지 않는것 같습니다.동인천역에 다와가자 동인천 전자상가가 나옵니다. 서울로 치면 세운상가가 아닌가 싶습니다.학생교육문화회관에서 운영하는 체육관 같습니다.한때는 인천을 대표하는 대형서점이었지만 인천의 중심번화가 이동하면서 동인천이 쇠락하고 대형서점의 등장으로 인해서 쪼그라든 대한서림입니다. 건물의 대부분은 임대를 하고 있습니다.드디어 동인천역에 도착을 했습니다. 인천 중구 홍예문을 나와서 동인천 시가지 골목길을 걸었습니다. 홍예문을 나오자 동인천역 근처 동인천동 시가지가 나옵니다. 동인천 시가지는 언덕 아래 골짜기에 좁은 골목길을 따라서 오래된 주택가들이 형성되어 있습니다.동인천동은 바로 근처 신포동과 함께 오랫동안 인천의 중심지 역활을 해서인지 오래된 단독주택들과 다세대 주택들만 있는 인천 동구 미추홀구와는 다르게 그래도 오래되었지만 규모가 큰 단독주택들이 있습니다. 물론 인천 동구나 미추홀구에도 커다란 단독주택들이 있었지만 동네가 오래되면서 주택을 팔고 주택자리는 빌라나 오피스텔로 변화를 했습니다.동인천 골목길을 걸었습니다.홍예문로를 따라서 걸었습니다. 홍예문로는 그래도 나름 인천 중구 내에 주요도로 같은데 동네가 오래되어서 도로폭이 매우 좁습니다. 인도와 도로와의 구분이 쉽지 않으며 다세대 주택이나 빌라들이 들어서 있.. 개항누리길 이음 1977후문에서 인천 중구 홍예문으로 갔습니다. 이음 1977에사 나와서 이번에는 홍예문 방향으로 갔습니다.홍예문 방향 자유공원로 풍경입니다.봄이 찾아온 자유공원과 공원 근처에 있는 단독주택입니다. 자유공원이라 그런지 이런저런 기념비와 동상들이 세워져 있습니다. 이 근처에 있는 주택들은 아마도 인천의 부유층들이 거주하는 주택이 아닌가 싶습니다.자유공원로 신포동 풍경입니다.자유공원로를 따라서 단독주택을 개조한 카페들이 곳곳에 있습니다.서서히 홍예문과 홍예문 아래 홍예문로를 따라서 신포동 거리가 펼쳐져 있습니다.홍예문 근처는 인천항과 인천앞바다 그리고 인천 중구 신포동 시가지를 조망할수 있어서인지 오래된 고급단독주택들이 곳곳에 있습니다.홍예문으로 내려가는 계단입니다.홍예문은 일제가 신포동과 동인천을 잇기 위해서 만든 터널로 터널입구 근처 벽에는 이렇게 조..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149 다음